13. 새로운 개발자 팀원의 온보딩

<aside> 📚 전문가와 초보자가 생각하는 방식을 비교하고, 효율적인 지원 방식을 알아본다.

</aside>

13.1. 온보딩의 문제



13.2.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

단계 특징 프로그래밍 행위
감각운동기 계획이나 전략이 부족함 프로그램 실행에 대해 일관되지 못하게 이해한다.
프로그램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없다.
전조작기 가설과 계획을 형성하기 시작하나 이를 안정적으로 사용하지 못함 상태표 등을 만들어 여러 줄의 코드 결과를 수동으로 예측할 수 있다.
이 단계의 프로그래머는 종종 코드의 일부가 무엇을 하는지 추측한다.
구체적 조작기 추론이 가능하나 일반적인 결론을 끌어내기는 어려움 전조작기처럼 귀납적 접근법(내가 먹은 딸기가 빨간색 → 모든 딸기는 빨간색)을 사용하기보다 코드 자체를 읽음으로써 코드에 대해 연역적(모든 딸기는 빨간색 → 상자 속 딸기도 빨간색)으로 추론한다.
형식적 조작기 형식적 추론이 가능함 논리적이고 일관적이며 체계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. 여기서의 추론은 자신의 행위를 뒤돌아보는 것을 포함하며 이것은 디버깅에 필수적이다.

프로그래밍을 위한 신피아제주의에서의 네가지 수준

프로그래밍을 위한 신피아제주의에서의 네가지 수준

Untitled

Untitled

13.3. 온보딩 개선